Linux

리눅스 기본적인 명령어

Detaeking 2019. 10. 20. 17:04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 확인

ps -ef

 

디렉토리나 파일의 용량

du

 

지정한 디렉토리나 파일의 용량을 표시

du -sh

 

디스크의 용량

df -h

 

널 카피 삭제

cp -p /dev/null 파일명

-p생략가능

 

결재-발송처리-문서 제목

 

결재용량 hoffice/sancbox/2019 이지점에서

du -sh ./8

 

ps -ef | grep gw83 | grep -drms

 

SSH 서버는 /etc/sshd/sshd_config 라는 설정 파일을 참조

 

root사용자만 가능

sudo useradd -m user01

홈 디렉토리와 함께 유저 계정 생성

 

sudo passwd user01

유저 비번 생성

 

유저 바꾸기

su user01        -------------------여기까지 루트모드

 

ssh서버설치

rpm -qa | grep openssh-server라고 치면

openssh-server-7.4p1-16.e17.x86_64라고 나옴

 

ssh서버 버전확인

rpm-qa openssh-server라고 치면

openssh-server-7.4p1-16.el7.x86_64라고 나옴

 

yum install net-tools 하고서 오류나면

yum update 또는 dhclient  고고

 

vim 관련 (vi IMproved)

명령모드 esc

 

입력모드 i

back space사용시에 파란색물음표가 나올때가 있는데 왜 그런지

 

ex명령모드 :

 

지금 vi로들어와있는 파일은 Now.txt

:w file.txt

지금들어와있는 파일을 다름이름(file.txt)으로 저장

 

ls로 확인하면 Now.txt파일과 file.txt파일이 존재

:w >> file.txt

지금들어와있는 파일(Now.txt)의 내용을(file.txt)내용 다음 부터 붙여넣기

 

ls -l

-rw-r--r--. 1 root root 0 jul 12 09:27 kmt

 

-

파일의 유형(위같은 경우는 일반 파일)

- 는 일반파일

d 는 디렉토리

b 는 블록 디바이스

c 는 문자 디바이스

i 링크

 

rw-(kmt를 만든 유저의 허가권) r--( 그 유저가 속한 그룹의 허가권) r--(그 유저를 제외한 타유저들의 허가권)

파일 허가권

r 읽기권한

w 쓰기권한

x 실행권한

 

1

링크수

 

root                             root                                         0

(kmt를 만든 유저의 허가권) (그 유저가 속한 그룹의 허가권)  (파일크기)

 

jul 12 09:27

파일의 최종 수정 일시

 

여기서 허가권 소유권

허가권 변경

chmod 변경할 권한 8진수 권한변경할 파일

kmt파일의 권한은 파일을 만든 유저의 읽기쓰기권한을 갖고 있고

파일을 만든 유저의 그룹은 읽기 권한만 갖고 있으며

그외 유저 또한 읽기 권한만 갖고있다

110 100 100 ---8진수--> 644

여기서 chmod 744 kmt

 kmt파일을 만든 유저의 권한에 실행 권한을 부여하여 rwx의 권한을 가질 수있게한다는 것이다

 

허가권의 상대모드(Symbolic method)

 대상(U(ser)G(roup)O(ther))과 권한(rwx) 그리고 명령부호+-(추가제거)

 

CP ./file.txt/usr/local/textfile.txt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file.txt 파일을 /usr/local/ 경로에 text.txt라는 이름으로 복사

cp ./usr/local/textfile.txt var/log/log.txt

/usr./local/textfile.txt 파일을 /var/log/log.txt 파일로 복사

-a 읽기 속성등  복사가 되면서 파일의 속성까지 복사된다

예를 들면  cp -a filename1.sh filename2.sh

-p 원본파일의 소유자, 그룹, 권한 등의 정보까지 복사

-i 덮어쓰기할지 묻는다.

-r 하위디렉토리 및 파일까지 모두 복사

-v 현재 복사 진행 작업을 표시

-u 최신 파일이면 복사

-b 이미 존해하는 파일이면 백업파일 생성

 

.war WebArchive

웹컨테이너에 들어가는 웹 컨포넌트

자바의 jar파일과 같은 역할을 함

주로 웹어플리케이션 묶는데 사용

톰캣을 사용할 때와 같이 WAR 아카이브를 그 자체로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한 경우, WAR 파일 단위로 서버에 배치가 됩니다. 이 경우 이 WAR 아카이브를 웹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합니다.

 

Login Shell Non Login Shell

 

Login Shell

로그인은 계정과 암호를 입력해서 Shell을 실행 따라서 ssh로 접속하거나 로컬에서 GUI를 통해 Shell을 실행하는 것은 Logic Shell

 

Non Login Shell

Non-Login Shell은 로그인 없이 실행하는 Shell

ssh로 접속하고나서 다시 bash를 실행하는 경우나 GUI 세션에서 터미널을 띄우는 것 'sudo bash' 'su'같은 것

 

맥은 로그인 관계없이 모든 터미널 창이 Login Shell로 실행(따라서 .bash_profile로 로드)

 

.bashrc

이미 로그인 한 상태에서 새 터미널 창을 열 때마다 실행(non-login shell)

.bash_profile

시스템에 로그인할 때마다 실행(login shell)

.profile

로그인할 때 로드. PATH처럼 로그인 할 때 로드해야 하는데 bash와 관계없는 것들을 여기에 넣는다

 

vi bash.profile하고 수정하고 저장후에

source bash.profile해야 업뎃돼서 수정한것이 반영됨

 

계정 자체에 경로를 보여주는 세팅

/etc/bashrc 들어가서 이렇게 수정

[ "$PS1" = "\\s-\\v\\\$ " ] && PS1='[\u@\h $PWD ]\\$ '

작은따음표로 감싸는게 핵심

\t 현재 시간을 HH:MM:SS 형식으로 보여준다.

\d 날자를 "요일 월 일" 형식으로 보여준다. Tue Jan 23

\s 쉘의 이름을 보여준다.

\w 현재 작업디렉토리를 완전경로로 보여준다.

\W 현재 작업디렉토리의 이름을 보여준다.

\u 현재 사용자의 사용자명

\h 호스트만

\H 호스트이름전체

\# 현재 명령의 명령 번호

\$ root이면 #, 일반사용자이면 $

 

 

ip주소 바뀌는 이유

리눅스에서 패키지 다운 받을 때 rpm yum 종류? 쓰임?

한글깨짐 문제 cp949? utf? euc-kr

돌아가는 프로세스 확인

지금 몇 비트사용중인지

# getconf LONG_BIT

# arch

# uname -m

x86_64 64비트

i386 또는 i686 32비트 i386은 구식

 

하드디스크 몇 쓰는지 ?

램 몇 인지 확인

쓰레드 확인

사용중인 ip 주소나 포트 확인

지금 리눅스 사용자들 현황

내가 만든 계정 확인

계정들 권한 확인

 

리눅스 버전 확인 레드햇계열 rpm

rpm -qa *release 라고  치면

centos-release-7-6.1810.2.e17.centos.x86_64라고 나옴 나는

리눅스 커널 확인 레드햇계열 rpm

rpm -qa kernel

리눅스 jdk 확인 레드햇계열 rpm

rpm -qa | grep jdk

리눅스 아파치 확인 레드햇계열 rpm

rpm -qa httpd

 

 chown -R {소유권자}:{그룹식별자} {소유권을 변경하고 싶은 디렉토리명}

 

14:12분에 error표시한 곳 찾아라

find -print | grep -rn 14:12 | grep error

 

리눅스에서 \;의 의미는 ?

\뒤에오는 문자의 특수한 능력을 없애주는 기능(;의 능력: 연속실행)

이어쓰기 기능이 있다

예를들어 cd ;..

 cd .. 에서 cd \..은 상위 디렉토리로 가는게 아니라 홈으로 간다

 

\ + Enter : 이어쓰기(명령문 도중 이어쓰기)

\                  : 특수문자의 특수능력 상쇄

;                  : 이어쓰기(명령문과 명령문을 이어쓰기)

예를들어

현 디렉토리 상황에에서 cd -> 루트 홈

          cd ..->상위 디렉토리

  cd .\엔터치고 . ->상위 디렉토리

  cd ..;ls ->상위 디렉토리로 간 후 목록보여주기

 

 

 

 

 

 

 

 

 

 

------------핸디에서 임의로 만든 기능들----------

monitor.sh 지금 작동하고있는 모든모듈상황

all.start 모든 모듈 기동

all.stop 모든 모듈 정지

 

( 3가지는 핸디에서 임의로 만든걸로 어떻게 만들었고 어떻게 사용하는지아는게 관건)

 

 

경로설정창

 vi ~/.bash_profile 여기서 경로설정

 

bash_profile vi편집기로 수정 새로고침

source .bash_profile

 

 vi ~/.bashrc 여기도 경로수정

 

 source .bashrc 이걸로 새로고침

댓글수0